250x250
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dart
- SwiftGen
- Widget
- COMMIT
- it
- Leetcode
- OSLog
- basic
- protocol
- flutter
- ToDoRim
- GIT
- enumerations
- Swift
- IOS
- swiftlint
- listview
- UIAccessibility
- reetcode
- Equatable
- keyWindow
- algorithm
- github
- xcode
- pubspec
- pubspec.yaml
- tip
- toyproject
- Extentsion
- designPattern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basics (1)
수니의 개발새발
[iOS/Swift/Basic] 변수와 상수 (var/let)
변수 (var) var [변수명]: [데이터 타입] = [값] 상수 (let) let [변수명]: [데이터 타입] = [값] 상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가독성 - 상수는 차후 값의 변경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. 타입 추론 - 데이터 타입은 생략하면 스위프트는 타입을 추론하여 타입을 지정해준다. ❗️ 타입 지정을 권고! ❓ 처음부터 타입을 명시하는 편이 시간을 더 절약할 수 있다. - 타입 추론에 의지하여 코딩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는 것 보다 타입추론은 컴파일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. - 컴파일러가 컴파일할 때 타입을 추론해야 한다. 🙋🏻♀️ 참고 야곰, ⌜스위프트 프로그래밍: Swift5⌟, 한빛미디어(2019)
iOS - Swift
2022. 1. 14. 00:27